top of page

CARCINIA CAMBOGIA 

“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”은 Guttiferae과의 식물로서 인도 남서부에서 자생하는 열대 식물인 ‘가르시니아 캄보지아’ 열매의 껍질 부위를 사용하며, 껍질에는 기능성분인 hydroxycitric acid(이하 HCA)가 약 10~30% 함유되어 있다.

동남아시아에서는 카레 등의 향신료로 사용되고, 남부 인디아 해안지역에서는 수세기 동안 돼지고기 및 생선의 산미제로서 사용되어 왔다.

“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”은 1969년 Brandeis University의 연구자들이 HCA의 Krebs/citric acid cycle 억제제로서의 역할을 제시하여 신체 내에서 탄수화물로부터 지방합성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이 연구되기 시작하였다

 

탄수화물을 과량 섭취하면 체내에서 지방으로 전환되어 축적되는데, (-)-HCA는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전환될 때 사용되는 효소(ATP-citrate lyase)의 활성을 억제하여 체중과 체지방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다음의 인체적용시험, 동물시험 및 시험관 시험을 통해서 확인되었다

 

〈인체적용연구〉

▫ Preuss 등(2003, 2005)의 이중맹검, 병행시험에서 BMI 26 이상인 성

인을 대상으로 8주간 “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”을 기능성분인 (-)-

HCA로서 2,800㎎/일 섭취시킨 결과, 체중, BMI, 혈청 렙틴이 감소하고, 지방대사산물의 배설물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.

▫ Heymsfield 등(1998), Mattes 등(2000), Hayamizu 등(2003), Onomura 등(2000)의 이중맹검, 병행시험에서 BMI 26 이상인 성인을 대상으로 8주간 “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”을 기능성분인 (-)-HCA로서 2,800㎎/일 섭취시킨 결과, 대조군과 비교하여 피하지방, 내장지방을 포함한 체지방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.

▫ Kovacs 등(2006), Westerterp-Plantenga 등(2002)의 이중맹검, 병행시험에서 BMI 21.8~27.5인 성인을 대상으로 10일에서 2주간 “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”을 기능성분인 (-)-HCA로서 900~1,448㎎/일 섭취시킨 결과, 대조군과 비교하여 에너지섭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.

▫ Sawada 등(1997), Ruben 등(1995)의 이중맹검, 병행시험에서 BMI 26 이상인 성인을 대상으로 8주간 “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”을 기능성분인 (-)-HCA로서 750~1500㎎/일 섭취시킨 결과, 대조군과 비교하여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.

 

 “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” 효능

 

 

 

  • 지방합성 차단

      HCA는 ATP-citrate lyase가 결합하여 구연산 분해를 막아 지방합성 경로를 차단하게 된다.

 

 

  • 에너지 생산

      지방합성에 사용되지 않은 구연산은 체내에 축적되어 글리코겐의 생성에 사용되므로 글리코겐의 에너지 생산이 증가하게 된다.

 

 

  •  식욕억제

       HCA에 의해 글리코겐의 축적이 증가하면 당질의 과잉이 뇌의 시상하부에 전달되어 식욕이 억제된다.

 

 

  •  지방분해

      구연산이 분해되지 않으므로 구연산에 의해 생기는 Malonyl Co A의 농도가 감소한다.

      Malonyl Co A 는 농도가 저하되면 지방합성보다 분해작용이 활발해진다.

 

 

bottom of page